본문 바로가기
100만원 상당의 사주 기초 완성

사주 용신 찾는 법: 조후용신 통관용신?

by 사주관상 봐주는 사람 2025. 5. 28.

 

사주 용신 법: 당신에게 가장 필요한 기운은?

 

내 사주에 필요한 '기운', 용신 찾는 실전 예제

"용신이 좋다는데, 내 사주엔 뭐가 해당될까?"
"분명 운이 들어왔다는데 왜 변화가 없지?"
이런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사실 용신은 단순히 '좋은 운'이라기보다 내 사주 구조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방향키예요. 오늘은 신강/신약 이론 중심으로 용신을 찾는 실제 분석 방법을 차근차근 설명해드릴게요.

용신은 균형을 잡는 것과 같다

목차

1. 용신이란? 핵심 개념 정리
2. 신강/신약에 따라 달라지는 용신
3. 간여지동과 오행의 흐름 읽기
4. 조후ㆍ통관 관점 보완하기
5. 예시로 보는 사주 구조 분석
6. 요약 정리

1. 용신이란? 핵심 개념 정리

 
용신은 사주의 균형을 잡아주는 중심 기운입니다. '좋은 오행'이라기보다는, 내 사주에서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과한 부분을 조율해주는 역할을 하죠.

즉, 용신은 ‘행운’이라기보다, 내 사주를 유기적으로 작동하게 만드는 기제에 가깝습니다.

 

2. 신강/신약에 따라 달라지는 용신

사주가 스스로 강한 경우를 '신강', 약한 경우를 '신약'이라 합니다. 신강한 사람은 외부의 제어와 균형이 필요하므로 식상, 재성, 관성이 용신이 됩니다. 반대로 신약한 경우, 내부를 보강하는 비겁과 인성이 용신이 되죠.

예를 들어 신약한 무토 일간 사주는 비겁(토)이나 인성(화)의 기운이 들어올 때 활력이 생깁니다.
 
 

3. 간여지동과 오행의 흐름 읽기 ⚖️


간여지동은 시주 등에서 천간과 지지가 같은 오행일 때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해당 오행의 영향력이 매우 크며, 사주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임자일주라면 수 기운이 매우 강한 구조이며, 수가 강한 만큼 화나 토 같은 다른 오행으로 균형을 맞춰줘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금이 용신으로 작용한다면, 금이 수를 제어할 수 있는 흐름을 형성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조후ㆍ통관 관점 보완하기


* 조후용신: 사주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개념이에요. 예를 들어 겨울에 태어난 사람은 따뜻한 화 기운이 필요하고, 여름에 태어난 사람은 수 기운이 필요할 수 있어요.

* 통관용신: 강한 두 오행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오행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목과 토가 강할 경우, 중간에 위치한 화가 통로 역할을 해주면 에너지의 흐름이 원활해지죠.

이 관점들은 신강/신약 중심의 억부용신 이론을 입체적으로 확장해주는 도구로 활용됩니다.
 
 

5. 예시로 보는 사주 구조 분석 🧩


사주의 금과 토가 강한 경우를 예로 들어볼게요.
만약 유금, 신금, 진토, 술토 등으로 구성돼 있다면 신강한 사주일 확률이 높습니다. 이럴 때는 수가 재성으로 작용하며, 용신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지가 묘목이라면 유금과 도화충이 생기고 원진살의 영향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금이 용신이라고 보기보단, 실제 작용에서 방해가 되는 합, 충, 해, 파 등을 함께 분석해야 해요.

또한 20대에 화와 토 기운이 집중되어 있었다면, 이후 수가 들어오는 대운에서는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이럴 때 진로를 바꾸거나,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요약 정리 💡


용신은 단순한 '좋은 운'이 아니라, 내 사주의 구조에서 균형을 맞춰주는 핵심 기운입니다. 신강/신약이라는 큰 틀 안에서 나의 오행 구성을 이해하고, 언제 어떤 기운이 들어올 때 흐름이 열렸는지를 과거 데이터로 추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신강인지 신약인지 먼저 판단합니다.
2. 간여지동 여부를 확인해 강한 오행을 체크합니다.
3. 조후나 통관의 관점도 더해 사주의 기후와 흐름을 조율합니다.
4. 세운과 대운에서 반복된 흐름을 통해 용신을 확신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내 사주에 가장 잘 맞는 용신이 무엇인지 점차 또렷하게 보이게 됩니다. 이제 당신의 사주에는 어떤 기운이 필요한지 직접 확인해보세요!